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위대한 수업] 당신이 몰랐던 진화론 | 4강 불완전한 설계_리처드 도킨스 지구 상에 많은 종류의 동물들이 존재하는 이유는 뭘까요? 모든 생명체는 누군가 설계한 듯 아름답다. 모든 동식물은 자연선택에 의해 만들어졌다. 돌연변이는 유전자의 무작위적인 변화로 번식에 불리하게 작용하며, 극소수의 돌연변이만 생존한다. 한편 품종 개량 기술 발달로 우리가 원하는 품종을 만들어내곤 한다. 자연선택설: 인간이 종을 선택하지 않아도 자연이 선택한다. 잘 살아남기 위한 유전자 조건 1) 배우자를 잘 유혹 2) 자손 잘 번식 3) 자손 잘 기름 동물들은 생존과 번식에 능숙해진다. 변화의 원인은 돌연변이라고 할 수 있다. 돌연변이는 무작위로 일어나나 유전자의 생존은 무작위적으로 정해지지 않는다. 어떤 돌연변이가 진화에 유리한가요? 진화의 역사에서 살아남은 부모와 달리 자식에게 큰 돌연변이가 생긴다.. 더보기
[위대한 수업] 당신이 몰랐던 진화론 | 2강 우리 몸에 설계자가 있을까_리처드 도킨스 세포는 어떻게 생명체로 발전하나요? DNA는 우리 몸의 청사진이 아니다. 설계도는 결과를 예측하고 되돌릴 수 있으나 한번 발생한 DNA는 되돌릴 수 없다. DNA는 오히려 요리 레시피와 비슷하다. 완성된 케이크를 보고 레시피를 재구성할 수 없는 것과 같다. - 하향식 설계: 설계자의 설계도에 의해 구조물이 만들어지는 방식 ex. 인간의 건축 - 상향식 설계: 작고 부분적인 규칙에 의해 구조물이 만들어지는 방식 ex. 흰개미집 생명체는 상향식 설계방식으로 만들어진다. 발달하는 모든 세포는 작고 부분적인 규칙을 따라 설계된다. ex. 찌르레기 떼: 수만 마리의 찌르레기는 대열을 맞춰 회전하며 소통한다. 전체가 어떻게 보일지는 모르나 각 개체가 특정 각도를 유지하며 비행한다. (참고: 보이드 프로그램) 각 세.. 더보기
(면접 합격) LVMH P&C 면접 최종 합격 후기 LVMH 면접은 코로나 상황 때문에 비대면(Microsoft Teams)으로 진행됐다. 정말 긴장했는데 인성 질문을 기반으로 따뜻하게 대해주셔서 안심할 수 있었다. 실무에 필요한 기본 역량을 체크하는 느낌이었고 압박은 전혀 없었다. 덧, 면접관님은 인생의 멘토로 다시 뵙고 싶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멋진 말씀들을 해주셨다. 특이점은 영어 질문이 없었다는 점! 글로벌 기업이라 영어 질문이 있다는 의견이 많았는데 시간이 부족해서 그런지 따로 테스트하지 않았다. 1차는 실무진 면접, 2차는 HR 면접이다. 면접비는 없다. 1차 & 2차 면접 질문 기억나는 질문들: 1. 자기소개 2. 업무 내용 질문 3. 본인은 어떤 성향의 사람인가? 4. 본인이 해온 일과는 조금 다른 업무 같은데 괜찮은가? 5. 엑셀 실력은 .. 더보기
[경제] #45.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_2021.09.24(금) 문화재청이 김포 장릉 근처아파트 공사 중단시킨 이유 문화재청, 건설사들에게 다음 달까지 어떻게 할 지 제출하라 검단 신도시, 인조 아버지 묘 옆 대규모 아파트 단지 건설 중이나 문화재청 허가를 받지 않아 문제 발생 보통 땅을 팠을 때 문화재가 나올 것 같으면 사전 신고 후 발굴한다. 택지개발지구로 허가가 난 상태이나 김포 왕릉, 파주 왕릉, 계양산으로 일직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유네스코문화유산을 아파트가 막은 상황 - 건설사, 인천서구청 측, 지을 때 허가 받았다. - 문화재청, 아니다. 건설사 측, 현상 변경허가를 이미 받은 택지를 매입해 아파트를 지었다. 인천 서구청, 현상 변경허가가 난 택지에 그 기준으로 건축 허가를 내준 것이다. vs. 문화재청 측, 건축 허가가 나기 전에 이미 법이 강화됐다. -.. 더보기
[경제] #44.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_2021.09.23(목) 전기요금, 8년 만에 인상 전기요금 kWh당 3원 올림 전기 요금 연료비 연동제 채택, 전기세 직전 3분기 기준 원자재 가격 변동 반영: 원자재 가격 등락 심해 한도 정함 → 가격 안정성 추구 1분기, kWh당 3원 인하. 2,3분기 들어 연료비 상승했으나 코로나19로 전기세 동결 - 우리나라 전기 생산에 가장 많이 쓰이는 연료는 석탄, 천연가스, 원전이나 연초대비 석탄 가격 120%, 천연가스 70% 인상 (한전 적자 발생) 4분기 kWh당 3원 인상, 9월부터 12월까지 1년 평균 만 원 정도 부담 단종 카드가 늘고 있는 이유 새로 발급 안 하고, 기존 고객은 유효기간이 끝날 때까지만 쓸 수 있는 카드로, 8월 말 기준 2배 넘는 카드가 사라짐 왜? 운영해 보니 득보다 실이 컸다. 카드사는 소비자가 .. 더보기
[경제] #43.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_2021.09.22(수) 육락통장 육락통장(6번 떨어진 통장) 중 가입일자가 빠른 사람을 당첨 시켜줬다. 경쟁률이 센 아파트에 일부러 집어넣어 낙첨 도장을 많이 받은 통장을 만들어 거래하기도 했다. 통장은 양도 불가능하나 명의 변경 쉬웠다. 당첨 받은 통장은 접수증으로 변경할 수 있는데 양식이 없어 사기가 빈번했다. 투기 수요는 청약통장을 비싸게 팔거나 바로 전매해서 실수요자에게 팔고 나가서 단속하지 못했다. 당첨 후 재당첨 금지 제도가 생겼다. 청약통장은 나라에 돈이 없어 시중 자금을 끌어 모아 아파트를 짓고자 만든 제도이다. 지금은 필요없으나 선착순 분양이 애매해서 청약 통장 제도를 계속 유지하고 있다. 오피스텔 규제 완화, 15년 전과 판박이? 아파트가 비싸서 오피스텔 매매,.. 더보기
[경제] #42.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_2021.09.21(화) 아파트 한 채 값, 0순위 청약통장을 아십니까? 청약제도, 아파트가 부족했기 때문에 생긴 제도로 집이 없는 사람에게 우선권 주기 위해 시작했다. - 1975년, 복지주택부금: 가입 시 우선권을 주는데, 통장 가입 조건이 없었다. - 1977년, 국민주택 우선공급(청약통장의 시초)로 청약 부금 가입이 필수가 되었다. (무주택자만 가입 가능) 전매 제한이 없어 투기 빈번해지자 국민 주택에 도입한 청약제도를 민영주택에도 확대했다. 당첨자 1순위는 해외 취업자이자 불임수술을 한 사람(산아제한 정책), 2순위는 불임 수술한 사람, 3순위는 해외 취업자, 이후 불임 수술 나이 제한을 생겼고, 불임 수술 증명서를 사고 팔기도 했다. (금융 실명제 부재) 국가 대출재원은.. 더보기
[경제] #41.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_2021.09.20(월) 주식 최소 매매 단위가 100주였던 때가 있었다? [최근 변화] - 내년 하반기부터 주식 소수점 단위로 매매 가능 - 2014년 6월, 주식 거래 단위 10주에서 1주로 변경 (장마감 동시호가로 마감 시에는 10주 미만 단위 매매 가능) [주식 역사] - 1953년 3월, 대한증권거래소 첫 등장: 최소 거래 단위 50주, 12개 종목, 집단 경매 방식(ex. 삼성전자 사실 분? 수신호로 진행하며 경매하고 체결된 종목과 가격을 수기로 적어 거래소 뒤에 걸어둠) - 1962년. 최소 매매단위 50주에서 10주로 변경했다가 1963년 5월에 50주로 재변경 - 1984년에 상법 개정하며 액면가 단위로 거래 규모가 조정: 84년 9월 액면가 5000원 이상은 10.. 더보기